Surprise Me!

[김진이 간다]밤 아니야? 먹으면 큰일나는 ‘마로니에 열매’

2019-10-02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가을이다보니 길거리 곳곳에 가로수 열매가 떨어져 있는데 그 중에 밤과 비슷하게 생겨서 문제가 되는 열매가 있습니다. <br> <br>'김진이 간다' 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<br><김진> <br> 도심공원이나 길가에서 흔히 보이는 마로니에 나무! 이 마로니에 열매가 요즘 바닥에 많이 떨어져 있습니다. 그런데, 생김새가 우리에게 익숙한 밤과 흡사해서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마로니에 열매, 과연 밤과는 어떻게 다르고 먹었을 때 위험한 것은 아닌지 제가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. <br> <br>1913년, 네덜란드에서 고종황제에게 선물로 보내며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 마로니에 나무. <br> <br>요즘은 전국 각지에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 있고, 대학로에 있는 마로니에 공원도 이 나무 이름에서 따온 겁니다. <br> <br><김진> <br>마로니에 공원에 나왔는데요. 이렇게 큰 마로니에 나무도 보이고요. 마침 마로니에 열매가 바닥에 떨어져 있습니다. 한 번 보실까요? 자 어떻습니까. 정말 밤과 흡사하게 생겼네요. <br> <br>NA. 밤과 닮은 생김새 때문에 땅에 떨어진 열매를 관심 있게 들여다보거나 줍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. <br> <br><시민들> <br>- 이거 찾는 거예요. 이것 <br>- 이것 봐요. (밤이랑) 똑같잖아요. 똑같죠? <br>- 밤인 줄 알았어요. 밤이 왜 이렇게 크지? (라고 생각했어요) <br>- 이게 밤 같잖아요. 떨어지는 게 <br>- 나무 밑에 떨어져 있는 것 보면, 밤이랑 똑같이 생긴 것 같은데. 밤 아니에요? <br> <br>밤과 꼭 닮은 마로니에 열매! 그 맛은 어떨까요? <br> <br>제가 한 번 살짝 깨물어보았습니다. <br> <br><김진> <br>(뱉고) 생밤도 먹으면 단맛이 나는데 마로니에 열매는 상당히 씁니다. 먹을수록 계속 쓴맛이 올라옵니다. <br> <br>마로니에 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는 아파트 단지. <br> <br>주민들 중에 마로니에 열매 때문에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<주민들> <br>- 이걸 먹고 열이 나서 병원에 갔다는 이야길 들었어요. <br>- 껍질 있잖아요? 껍질을 만져서 알레르기가 일어나 병원 간 사람이 있어요. <br> <br>마로니에 열매를 먹거나 만진 후, 복통이나 피부 질환 등의 증세가 나타난 경우를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. <br> 열매의 독성물질 때문입니다. <br> <br><이규진 / 내과 전문의> <br> 마로니에 열매는 탄닌, 사포닌, 글루코사이드와 같은 독성물질을 <br> 포함하기 때문에 밤으로 착각하고 드시는 경우 홍조, 가려움, 열감, 복통, 설사, 호흡곤란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자칫하면 병이 날 수도 있는 마로니에 열매. 그렇다면 밤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. <br> <br><이경준 /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명예 교수 > <br> 우리나라 밤 열매는 연한 갈색이면서 끝이 뾰족하고요. 마로니에 열매는 짙은 갈색이면서 훨씬 반질반질하죠. 그리고 열매 표면을 보면 우리나라 밤나무는 밤송이가 가시가 많이 났는데, 마로니에 열매 표면에는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요. <br> <br>밤은 뾰족한 꼭지가 있지만 마로니에는 꼭지 없이 전체가 둥글고 매끈합니다. <br> <br>그럼 열매 속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 잘라보면 밤과 마로니에 모두 비슷한 노란 빛인데요 <br> <br>하지만 익히면 색깔이 확연히 달라집니다. <br> <br>마로니에 알맹이가 밤보다 더 짙은 노란빛을 띕니다. <br> <br>이렇게 가끔씩 사람들을 골탕먹이는 마로니에 나무. 그러나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좋아서 사람들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좋은 나무입니다. <br> <br>따라서 모양 구별만 주의깊게 한다면 가로수로서 손색이 없는 나무입니다. 김진이 간다. 김진 기자입니다. 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